top of page

수시컨설팅을 언제 받는게 좋나요?

  • 작성자 사진: Admin
    Admin
  • 1월 25일
  • 1분 분량

아래 링크 내용을 먼저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 - - - - - - -

개인의 상황과 필요가 다르기에 언제 받는 것이 좋다고 답하기 어렵다는 저희의 입장은 확고합니다.

저희가 지켜 본 "수시컨설팅 시기를 선택하시는 상황"을 아래에 정리해 보았습니다.

단! 저희가 관찰한 상황일 뿐, 가이드라인이 될 수는 없습니다.

참고만 해 주세요.

<개학 전 또는 개학 직후 오시는 경우>

  1. 종합전형이 가장 유리하거나 유일한 것이 확실하다.

  2. 특기자전형이 가장 유리하거나 유일한 것이 확실하다.

  3. 지원 대학의 하한 마지노선이 확실하다. - OO대 밑으로는 지원할 필요가 없다.

  4. 서류컨설팅을 신청해야 한다. - 서류컨설팅Full은 늦어도 2월 말까지, 서류컨설팅A는 5월까지 상담 완료 필요

  5. 상담 후 필요에 따라 이후에 다시 수시컨설팅을 신청해서 받아도 된다.

  6. 무.조.건. OO학과(학부)만 지원한다.

  7. 수시전형이 정시전형보다 유리한 것이 확실하다.

  8. 현재의 (모의)수능성적이 거의 변동이 없을 것이다.

  9. 수시전형으로 합격하기 어려울 거라는 자체 평가가 맞는지 확인하고 싶다.

  10. 수시랑 정시 중 무엇이 유리한지 모르겠다.

  11. 지원계획을 설정했으나, 이에 대한 평가와 보완이 필요하다.

<6월 이후에 오시는 경우>

  1. 모의고사 성적이 향상될 것이라는 기대가 크다.

  2. 수시 지원 6회 중 5회 이상을 교과전형으로 지원해야 하는 것이 확실하다.

  3. 교과전형(내신) 또는 논술전형으로만 승부를 봐야 한다.

  4. 종합전형이나 특기자전형으로 합격 불가능한 것이 확실하다.

<7월-8월에 오시는 경우>

1. 이미 대학, 전형, 학과를 확정해 준비했고, 지원전략에 대한 최종 평가와 검토를 받으려 한다.

2. 교과전형으로만 승부해야 하며, 내신확정 후 컨설팅에서 지원 상한-하한 마지노선과 전략을 세우겠다.

3. 논술 외에는 지원하지 않을 생각이며, 최대한 논술을 준비한 후 해당 논술 수준으로 지원전략을 세우겠다.

4. 정시전형으로 합격하는 것으로 마음을 굳힌 상태이나, 논술 또는 교과 위주의 수시 상향 지원을 검토하겠다.

최근 게시물

전체 보기
고1은 언제부터 상담받나요?

상담은 입학 전 1월부터 가능하며, 정확하게는 진학할 고등학교가 확정된 이후에 받습니다. 대입 수시전형은 고등학교 입학 후의 교과, 비교과 등을 정석/정량적으로 종합평가합니다. 따라서 각자가 속한 교육환경에 맞는 선별된 정보를 얻는 것이...

 
 
컨설팅에 어떤 서류를 가져가야 하나요?

서류는 상담일에 지참하는 것이 아니라 상담일로부터 최소 3주 전까지 제출 하셔야 합니다. 사전에 상담대상자의 서류를 정량/정성적으로 검토, 평가, 판단을 완료한 후 상담이 진행됩니다. 제출하실 서류와 제출기한은 예약 후 '서류제출 안내 및 양식...

 
 
bottom of page